
피킹률
(2020년 1월 3일 작성)
이번 포스팅에선 지금 쓰고 있는 내 신용카드와 나의 소비 형태가 잘 맞는지를 알기 위한 개념인 피킹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신용카드를 발급받으시려는 분들은 잘 읽어보세요~
피킹률
피킹률이란 카드 사용액 대비 실제로 받은 혜택의 비율을 말합니다.
피킹률 = 혜택금액 – (연회비 / 12) / 사용금액
피킹률의 효율은 다음표와 같습니다.
피킹률 | |
1% 미만 | 카드사에 연회비만 납부하고 있는 카드입니다. |
1 ~ 2% | 실적없이 사용가능한 카드인지 확인해보세요. |
3 ~ 5% | 적당합니다. |
5% 이상 | 현명한 소비를 하는 아주 좋은 카드입니다. |
피킹률 계산시 가장 머리아픈게 바로 혜택금액을 산정하는 것인데요. 카드사마다 전월실적과 월 최대 할인한도 등이 각각 다르므로 카드 할인 설명서를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피킹률 산정 예
간단하게 해볼 생각입니다. 실제 카드를 예로 들면 더 쏙쏙 들어오겠지만 다음 기회에 실제 카드와 피킹률을 계산해서 추천카드를 유형별로 해보겠습니다.
A카드사에 a카드는 연회비가 12,000원이고 전월실적이 50만원, 통신요금 1만원이상 5,000원, 카페할인 건당 5%할인 최대한도 20,000원, 교통비 10%청구할인에 최대할인한도 10,000원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a카드에서 최대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35,000원입니다. 최대 할인을 받으려면 총 얼마를 사용해야 할까요? 계산해 보겠습니다.
통신 | 카페 | 교통 | 총 / 피킹률 | |
사용액 | 100,000원 | 400,000원 | 100,000원 | 600,000원 |
할인액 | 5,000원 | 20,000원 | 10,000원 | 35,000원 / 5.6% |
가상의 카드이고 이상적인 소비 유형이지만 5.6% 피킹률이라면 이정도 효율의 카드가 현실에도 있다면 무조건 사용해야할 것입니다.
위의 예처럼 현실에서도 용도에 맞는 카드만 딱 사용해야 최대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많은 공부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마치며
현명한 소비활동을 위한 방법중에 하나인 피킹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최근에 알았던 내용인데 알뜰소비자들 사이에서 신용카드를 고를때 공식처럼 활용하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역시 부자가 되려면 공부만이 방법인거 같습니다. ~~
아직도 갈 길이 먼거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