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워진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에 들어 청년도약계좌의 조건 등이 완화되었는데요. 큰 줄기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여금 지원 확대
- 유지시 혜택 강화
-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등 입니다.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을 참고해주세요.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
지난 2024년도는 누적가입인원이 약 157만명에 달했다고 합니다. 꽤 많은 사람들이 가입했는데요. 그러나 청년도약계좌 가입가능 인원이 약 60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럴까요? 청년도약계좌의 일부 혜택이 강화되면서 더 많은 신규 가입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에 대해 우선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3가지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요. 나이와 개인소득, 가구소득을 조건으로 살펴봅니다.
- 나이 :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만34세 이하
-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신 시 빼고 계산
- 만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네이버)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
- 혹은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제외
-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청년도약계좌 우대 혜택
지난해와 다르게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만원 ~ 3.3만원으로 강화되었습니다.
저소득 구간일수록 최대 금액을 납부한다면 추가 정부기여금을 제공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연 최대 9.54%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와 같습니다.
또 기존에는 만기 전 중도해지를 하게 된다면 기여금이 환수되었지만 지금은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하게 되면 비과세 혜택 및 기여금이 60% 지급이 됩니다.
갑자기 급하게 돈이 필요할 경우 차선책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실납부시 개인신용평가점수에 가점을 부여합니다.
2년 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최소 5~ 10점을 부여됩니다.
마지막으로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습니다.
추가적인 혜택이나 변경사항은 아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